Ethereum과 Web3
2023. 5. 25. 17:33ㆍBlockChain/Ethereum
목차 |
1. Web의 역사 |
2. Web 3.0 2.1 Web 3.0의 핵심 아이디어 2.2 Web 3.0의 특징 2.3 Web 3.0의 문제점 |
1. Web의 역사
Web 3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Web의 역사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자.
Web 1.0 : 읽기 전용 웹( 1990 ~ 2004 )
웹 1.0은 기업 소유의 정적인 웹사이트가 대부분이었다.
사용자가 컨텐츠를 생산하는 경우는 드물었고 서로 상호 작업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다시 말해서 읽기 전용의 웹이라고 보면된다.
Web 2.0 :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 웹( 2004 ~ 현재 )
웹 2.0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등장과 함께 시작했다.
회사에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기만 하던 때와는 다르게,
사용자들이 컨텐츠를 생성하여 공유하고,
사용자들이 서로 상호 작업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이 제공되었다.
온라인 사용자가 늘어나고, 소수의 기업이 웹에서 생산되는 트랙픽과 가치를 제어하게 되었다.
웹 2.0은 광고 기반의 수입모델을 탄생시켰지만, 컨텐츠를 생산한 사용자들은 혜택을 받지 못했다.
Web 3.0 : 읽기와 쓰기, 소유가 가능한 웹( 2014 ~ 현재 )
이더리움 공동 창립자인 개빈 우드는 이더리움을 런칭한 후에 Web 3.0을 제안했다.
현재의 웹(2.0)은 특정 주체(웹 사이트 소유자 등)에 대한 지나친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었다.
현재의 웹 서비스는 몇몇의 사기업들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 행동할 것이라는 믿음, 신뢰로 사용되고 있다.
2. Web 3.0
웹 3.0 의 핵심은 블록체인, 암호화폐, NFT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소유권이라는 형태로 권한을 다시 돌려준다는 점이다.
2.1 Web3 의 핵심 아이디어
Web3는 탈 중앙화 되어있다.
중앙화된 주체에 의해 인터넷의 대부분이 소유 및 제어되지 않고, 창작자와 사용자에게 소유권이 분배되어 있다.
Web3는 허가라는 개념이 없다.
웹3에서 모두가 동등한 참가 권한을 지니며,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다.
Web3는 기반 화폐가 있다.
은행 및 결제 서비스의 오래된 인프라에 의존하지 않고도 온라인 결제 및 송금이 가능한 암호화폐를 사용한다.
Web3는 특정 주체에 대한 신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 3자를 신뢰하는 대신, 인센티브와 경제 메커니즘을 통해서 작동한다.
2.2 Web3의 특징
소유권
웹2의 게임을 한다고 했을 때 게임에서 얻는 아이템은 사용자가 쓸 수 있지만, 게임의 창작자가 사용자의 계정을 삭제한다면, 사용자는 아이템을 모두 잃게 된다.
웹3에서는 대체 불가 토큰(NFT)를 통해서 직접적인 소유권을 갖게된다.
게임을 창작한 사람이라도 사용자가 가진 아이템의 소유권을 가질 수 없다.
사용자는 NFT를 오픈 마켓에 판매, 교환함으로써 가치를 활용할 수 있다.
검열 저항력
플랫폼과 컨텐츠 창작자 간의 권력 구도는 매우 불균형하다.
창작자가 컨텐츠를 제작하면, 회사로 수익이 들어가고 이를 창작자에게 주는 형태인데,
회사가 갑자기 규칙을 변경하여 창작자에게 가는 수익을 적게 주거나, 지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웹3에서는 창작자의 데이터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존재함으로써
플랫폼을 옮기거나 하여도 사용자의 가치가 사라지지 않는다.
웹2에서는 사용자가 플랫폼을 신뢰해야하지만, 웹3에서는 더 이상 그러지 않아도 된다.
탈중앙화 자율 조직(DAO)
웹3에서는 데이터를 소유하는 것 이외에도, 마치 주식을 통해 회사를 소유하듯이 토큰을 이용하여 플랫폼을 소유할 수 있다.
신원 증명
웹3에서는 사용자가 디지털 신원을 제어할 수 있게 허용한다.
안전하고 검열 저항력을 지니고, 익명성이 보증되느 ㄴ단일 로그인 방식을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다.
기본 결제 방식
은행이나 결제 서비스 업체에 의존하기 때문에 은행 계좌가 없거나 다른 나라에 사는 사람들은 배제된다.
웹3에서는 ETH과 같은 토큰을 사용하여 브라우저에서 직접 돈을 보내며, 제 3자에 의존하지 않는다.
2.3 Web3의 문제점
접근성
이더리움의 로그인 같은 기능은 무료이지만,
이더리움의 트랜잭션은 거래 수수료로 인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레이어2,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등을 도입하고있다.
기술은 준비되었지만 아직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사용자 환경
웹3를 사용하기 위한 기술장벅은 높다. 이로인해서 대중화까지는 많은 발전이 필요하다.
교육
웹3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
웹2의 사용자들에게 웹3의 패러다임을 설명하는 것은 웹3의 성공에 필수적인 부분이다.
중앙화된 인프라
웹3 생태계는 빠르게 진화되고있다.
그 결과, 현재는 중앙화된 인프라에 의존하고 있다.
수많은 웹3 회사가 이 격차를 줄이기위해서 서두르지만, 고품질 인프라르 구축하는 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참고자료 https://ethereum.org/ko/web3/
'BlockChain > Ethereum'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hereum - Truffle (0) | 2023.05.27 |
---|---|
Ethereum - Smart Contract(스마트 컨트랙트, 계약) (0) | 2023.05.27 |
Ethereum - EVM(Ethereum Virtual Machine)와 가스(Gas) (0) | 2023.05.27 |
Ethereum - Ganache(가나쉬) (1) | 2023.05.26 |
Ethereum - 이더리움 (0) | 2023.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