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9)
-
MySQL JOIN
목차 1. 조인(JOIN) 2. 조인(JOIN)의 종류와 사용방법 2.1 EQUI JOIN 2.2 Non EQUI JOIN 2.3 INNER JOIN 2.4 NATURAL JOIN 2.5 CROSS JOIN 2.6 OUTER JOIN 1. 조인(JOIN) 조인(Join)은 두 개이상의 테이블을 연결(결합)하여 데이터를 출력한다. 2. 조인의 종류와 사용방법 2.1 EQUI JOIN 테이블 간의 컬럼 값들이 일치하는 경우 사용한다. 사용되는 연산자는 = 이다. SELETE [테이블명].[필드명], [테이블명].[필드명],... FROM [테이블명], [테이블명], ... WHERE [테이블명].[필드명: A] = [테이블명].[필드명: A], 2.2 Non EQUI JOIN 테이블 간의 컬럼 값들이 일치하..
2023.01.13 -
MySQL 외래키
목차 1. 외래키(Foreign Key) 2. 외래키(Foreign Key)의 특징 3. 외래키(Foreign Key)의 설정 3.1. 테이블 생성시 외래키 설정 3.2. 테이블 생성후 외래키 설정 4. 제약조건 1. 외래키(Foreign Key)란? 외래키(Foreign Key)란, 두 테이블의 데이터 간 연결을 설정하고 강제 적용하여 외래 키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열(필드)이다. 추가 예정 외래 키 참조에서는 한 테이블의 기본 키 값을 가지고 있는 열을 다른 테이블의 열이 참조할 때 두 테이블 간에 연결이 생성된다. 2. 외래키(Foreign Key)의 특징 외래키(FK)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간의 관계를 표현하고,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PK)를 참조한다..
2023.01.13 -
MySQL 테이블의 구조
목차 1. 필드(속성) 2. 컬럼 3. 튜플(로우, 레코드) 1. 필드(속성) 다음과 같은 임의의 테이블이 존재한다. 첫 번째, 줄을 필드라고 한다. 이 중에서 보통 번호 부분을 식별자로 둔다. 2. 컬럼 세로 줄을 컬럼이라고 한다. 3. 튜플(로우, 레코드) 내용이 들어간 한 줄을 튜플이라고 한다.
2022.12.25 -
MySQL SQL 문법 요약 - 데이터 조작어(DML)
목차 1. 데이터 조작어(DML) 2. SELECT 3. INSERT 4. UPDATE 5. DELETE 6. 추가 내용 1. 데이터 조작어(DML) 데이터 조작어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검색, 삽입, 수정, 삭제의 명령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도구, 트랜잭션을 다루는 언어이다. SELECT INSERT UPDATE DELETE ... 대표적인 데이터 조작어를 간단하게 설명해보자면, SELECT는 데이터를 검색할 떄 사용한다. INSERT는 데이터를 삽입할 때 사용한다. UPDATE는 데이터를 수정할 때 사용한다. DELETE는 데이터를 삭제할 때 사용한다. 2. SELECT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SQL의 조작 언어이다. 데이터 조작어 중에서 가장 많..
2022.12.25 -
MySQL SQL 문법 요약 - 데이터 정의어(DDL)
목차 1. 데이터 정의어 2. SHOW 3. CREATE 4. ALTER 5. DROP 6. 데이터의 설정 1. 데이터 정의어 CREATE SHOW DROP ALTER TRUNCATE ... 데이터 정의어에 해당하는 명령어들이다. CREATE는 무엇가를 만들고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SHOW는 조회를 할 때에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DROP은 전체를 삭제할 경우에 사용되며, TRUNCATE은 테이블의 틀을 남기고 삭제한다. ALTER는 테이블에 대한 변경을 할 때에 사용한다. 대표적인 명령어들을 한 번 사용해보자. 2. SHOW 데이터베이스 조회 SHOW DATABASES; 테이블 조회 SHOW tables; 3. CREATE 데이터베이스 생성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명령어로서 복수가 아닌 단수로 써주어야한..
2022.12.25 -
MySQL SQL의 종류
목차 1. 데이터 정의어(DDL) 2. 데이터 조작어(DML) 3. 데이터 제어어(DCL) 1. 데이터 정의어(DDL) 데이터 정의어(DDL, Data Definition Language)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스키마를 정의하거나, 기존 스키마의 정의를 삭제 또는 수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의 언어이다. 데이터 베이스 내의 객체 생성, 삭제, 변경 등의 명령을 의미한다. 명령어 CREATE SHOW DROP ALTER TRUNCATE ... 스키마 스키마란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구조, 표현 방법, 자료 간의 관계를 형식 언어로 정의한 구조이다. 즉,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의 관계나 데이터들이 지켜야할 규칙을 정해놓은 것.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할지 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데이..
2022.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