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4)
-
블록체인 지갑 만들기(2023.05.31 ~ 2023.07.18, 7주)
목차 1. 프로젝트 소개 2. 개발과정 3. 프로젝트 결과 4. 후기 1. 프로젝트 소개 프로젝트명은 NFTIn 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암호화폐와 NFT를 담고 거래할 수 있는 어플을 목표로 했다. 2. 개발과정 학원에서 진행하는 마지막 프로젝트로 이전에 진행했던 프로젝트들 보다 체계적으로 진행되었다. 작업관리와 일정관리에는 Notion, Trello, Figma를 이용했다. 매일 아침 회의를 진행하고 기록했다. 초기에는 코드를 작성하지않고 초기 설정에 2주 정도를 할애했다.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다른 팀(NFT 마켓팀)과 연동해야해서 서로 많은 의견을 주고받고 진행상황을 공유했다. 초기 설정에는 필요 기능 정의, 라우터 설정, 디렉토리 구조, Ci / CD 세팅, 작업 규칙 정하기, UI 디자인 ..
2023.08.26 -
중고거래 사이트 만들기(2023.03.22 ~ 2023.04.14, 4주)
목차 1. 프로젝트 소개 2. 개발과정 3. 프로젝트 결과 4. 후기 1. 프로젝트 소개 이번에 진행한 프로젝트는 지역기반형 물물교환 서비스 플랫폼이다. 사이트 이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가입과 동네인증을 해야한다. 근처에 사는 주민들끼리 채팅을 통해 교환 신청 및 물물교환이 가능하다. 2. 개발과정 지난번 진행한 커뮤니티 프로젝트와 다르게 자유주제로 시작되어 어떤 기능을 넣을지 개인의 의견이 매우 중요한 프로젝트였다. 우리는 동네인증과 실시간 채팅을 가장 중요한 기능, 우선순위로 놓고 시작했다. 작업량이 많아질것 같아서 3인이 아닌 4인이 팀을 구성했고, 프론트와 백을 나눠서 작업하지 않고 기능별로 파트를 나눠서 작업했다. 동네인증을 위해서는 카카오 맵과 자바스크립트 API인 Geolocation을 사용해..
2023.08.16 -
커뮤니티 사이트 만들기(2023.1.30 ~ 2023.2.17, 3주)
목차 1. 프로젝트 소개 2. 개발과정 3. 프로젝트 결과 4. 후기 1. 프로젝트 소개 기본적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글쓰기(CRUD), 실시간 채팅, 회원관리 등의 기능이 구현되어있는 사이트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작업했다. 팀은 3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론트와 백을 따로 나눠서 작업하지는 않았다. 프론트는 넌적스를 이용해서 html을 던져주었고, 백엔드는 express 서버를 이용했다.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인 MySQL을 사용했다. 서버의 구성도는 다음과 같다. Socket I.O를 이용해서 실시간 채팅을 구현했으나 채팅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따로 기록하지는 않는다. 2. 개발과정 개발의 시작은 기능을 어떻게 구현하고 작업을 어떻게 진행할지 Trello를 이용해서 작업을 시작했다. 작업..
2023.07.20 -
Project_1 : 포트폴리오(22.11.28~22.12.02)
프로젝트 후기 전체적인 일정 및 과정 매일매일 뭔가를 시작하기 전에 계획을 짜는 습관이 있어서, 이번에도 역시 계획을 세워놓고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숫자를 매겨가며 순서를 정해놨다. 아쉬운 점은 계획을 짜는 것까지는 좋았으나, 요일별로 어디정도 완료를 해야할지를 세 워놓지 않아서 초반에 느긋하게 진행한 점이 있다. 일정 중 가장 시간이 많이 걸린부분은 아무래도 포트폴리오의 디자인이었다. 처음에는 이쁜 포트폴리오의 디자인을 찾아다녔지만, 결국 마음에 드는것도 없을 뿐더러 자신이 없어서 시도하지 않았다. 디자인을 고르고, 3일차까지 구현해야될 학습을 진행하였다. 진행 도중 갑자그럽게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않았고, 완전히 처음으로 돌아가 다시 진행하기로 하였다. 처음부터 만들기 시작한 시점이 4일차, 마감까지 ..
2022.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