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45)
-
BlockChain - 블록체인 구성요소
목차 1. 블록체인(Block Chain) 2. 블록헤더(Block Header) 3. 블록바디(Block Body) 4. 블록체인 구성요소 1. 블록체인(BlockChain) 블록체인은 블록들의 연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블록은 이전 블록의 정보와 함께 데이터를 담고 있고, 이전 블록의 정보를 이용해 데이터를 검증하고 보안성을 확보한다. 블록끼리 이전 정보를 매개로 연결되어있어 마치 체인같다하여 블록체인이라 한다. 위의 그림처럼 블록은 블록 헤더, 거래 데이터(블록 바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블록 헤더와 블록 바디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2. 블록 헤더(Block Header) 블록 헤더에는 블록을 설명하는 데이터(메타 데이터)를 포함하여, 각 블록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블록 헤더는 다음의 ..
2023.04.25 -
BlockChain - 머클 루트(MerkleRoot)
MerkleRoot 블록체인은 여러 개의 트랜잭션 데이터(거래정보)를 블록 단위로 묶어서 관리한다. 각 블록은 자신의 데이터뿐 아니라 이전 블록의 해시값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의 무결성을 검증하려면, 이전 블록의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은 채로 현재 블록의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았는지 확인해야한다.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머클 트리(MerkleTree)라는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다. 머클 트리는 아래와 같이 블록 데이터(트랜잭션 데이터) 를 계층적으로 묶어 나가는 구조이다. 블록에 있는 트랜잭션 데이터들을 해쉬화한다. 해시화된 데이터(노드)들을 2개씩 묶에 하나로 해시화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 최상위 노드에는 하나의 해시화된 데이터가 생긴다. 이를 머클 루트(MerkleRoot)라고..
2023.04.25 -
BlockChain - 블록체인이란?
목차 1. 블록체인의 정의 2. 블록체인의 핵심 요소 2.1 분산원장 2.2 블록 2.3 암호화 기술 2.4 스마트 계약 2.5 합의 알고리즘 3. PoW와 PoS 1. 블록체인의 정의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을 기록하고 자산을 추적하는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는 `공유 불변 원장`이다. 블록체인이란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한 형태이다. 기존의 거래방식은 왼쪽의 형태처럼 중앙에서 관리했다. 블록체인의 거래 방식은 거래 정보(트랜잭션)을 중앙이 아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컴퓨터(노드)에 저장 및 보관하는 기술이다. 분산원장 기술(DLT)이라고도 불리며, 중앙에서 관리하지 않고 참가자들이 공동으로 기록 및관리한다. 분산처리와 암호화 기술을 동시에 적용하여 높은 보안성을 확보한다. 2. 블록체인의..
2023.04.17